본문 바로가기
꽹과리

[스크랩] 꽹과리 기초에서 타법까지

by 수레의산 2012. 1. 11.

 

 

 

1. 명 칭      

   꽹과리, 매구(경상도), 쇠, 광쇠, 깽매기, 깽새기(전라도와 기타), 소금(종묘제례악) 등 여    

  러 가지로 불리운다.

2. 역 할

   사물악기 중에서 으뜸에 서서 판을 이끌어 가는 지휘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장단의 선    

  택과 변화, 빠르기, 동작, 진풀이 등을 결정하여 흐름을 주도한다.

3. 종 류  

   꽹과리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 곧 놋쇠로 만드는데 구리를 많이 섞으면 소리가 높고 카    

  랑 카랑하며(숫쇠), 아연의 합금 비율이 높거나 납을 섞어 만들면 소리가 낮고 유하다(암    

  쇠).만드는 방법에 따라 찍은 쇠와 방짜 쇠가 있는데 방짜 쇠가  단단하고 소리도 맑으    

  며 울림 또한 더 좋다.

4. 연 주 자 세 

  (1). 꽹과리 잡는 법

     흔히 호남 쪽에서는 엄지와 검지를 줄에 감고 중지로 쇠를 받치는 방법을 쓰는데 이는      

     쇠놀음을 하기에 가장 좋고 또 완전히 막고 칠 수 있는 좋은 점이 있기는 하지만 검지      

     에 피가 잘 통하지 않고 검지와 중지 사이가 부르트게 되는 좋지 않은 점이 있다.

     또 왼손을 다 넣어서 잡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접지가 정확하게 되고 또 정확한 타점      

     을 찾기 쉬우며 접지 하는 손가락 수를 조절하여 여러 음색을 낼 수 있는 좋은 면이       

     있는 반면 엄지와 집게 손톱이 닳고 또 쇠와 닿는 부분이 많아 음색이 맑지 못할 단점      

     이 있다.

     또 엄지로 끈 두개를 포개 꼬아 검지로 쇠를 받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엄지에  피가      

     통하지 않게 하는 가장 좋지 못한 방법이다. 또 영남과 웃다리 지방에서 자주 쓰는 방      

      법 인데 한 구멍에  끈을 작은 구멍이 되게 묶어 엄지만 넣고 검지는 쇠를 받치는 방      

      법이 있다. 

     어쨌든 이런 방법들 가운데 자기가 잡기 편하고 듣기 좋은 소리가 나는 방법으로 잡으      

      면 되겠다.

     이 때 꽹과리는 가슴의 명치 부분 앞에 놓이게 하며 꽹과리의 면과 자기 가슴의 선이

     서로 수직이 된 상태에서 꽹과리를 가슴부터 한 뼘 반쯤 간격을 두고 잡는다.


  (2). 채 잡는 법

      채를 잡는 가장 좋은 방법은 채를 오른손에 얹고 새끼손가락으로부터 차례로 이완되       

      게 쥐고 마지막으로는 엄지와 검지의 두 번째 마디에 걸쳐 잡으면서 엄지와 검지에        

      힘을 주지않고 자연스럽게 놔둔다.  이 때 채를 거꾸로 잡으면 빠질 만큼 가볍게 잡       

      도록 한다. 

      이것 말고도 쇠채는 중지와 무명지로 채의 끝을 잡고, 엄지와 검지는 손끝을 가볍게       

      붙여 둥글게 쥐며 소지도 그냥 편안하게 붙여 쥐면 된다. 그리고 채를 잡고 있다는        

      느낌보다는 그냥 손가락 사이에 채를 끼우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힘을 빼고 쥐       

      어야 한다.

      그렇다고 쇠를 칠 때에도 힘없이 쥐고 있어서는 안 된다. 치는 순간에는 잡아 줘야        

       한다.

      채 쥐는법 역시 자기에게 잘 맞는 것을 골라 하면 되며 가락에 따라 바꾸어 쥘 수도       

      있다

  (3). 연주 자세

       상체의 양어깨를 곧게 하며 허리를 펴고 가락을 치되, 꽹과리를 잡은 팔 겨드랑이를        

       몸에 붙이고 팔꿈치를 꺾어 꽹과리가 몸 정가운데에 오게 하며, 가슴 정도 높이로        

       몸과 꽹과리의 사이를 20㎝정도 떨어지게 한다. 채를 잡은 팔 역시 겨드랑이를 붙이       

       고 팔꿈치를 꺾어 채의 방울이 꽹과리 울림판 정 가운데에 닿게 한다.

       채는 오른손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가볍게 말아 쥐고 쇠의 복판 약간 위를(장지와       

       약지부분) 친다. 왼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장지와 약지) 소리를 막았다 열었다 하여

      울림을 조절, 다양한 음색을 낸다.


5. 호 흡 법 

  

    꽹과리의 호흡법은 장단의 형태나 빠르기, 셈․여림 등 음악적인 호흡단위에 따라 주고    

    상․하 호흡을  기본으로 크게는 장구 호흡법과 같다.

    장구의 호흡법과 다른 점은 악기를 손에 잡고 치기 때문에 악기나 채를 잡은 손을 상      

    하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칠 수 있다는 점과 꽹과리의 역할이 전체 음악을 이끌어    

    가는 지휘 자격이기 때문에 장단간의 연결이나 맺음 등을 표시할 때 리듬 형태의 변화와    

    더불어 율동하는 경우는 장단의 구조와 관계없이 호흡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장구의     

    양장구 치기에서 궁굴채의 위치에 따른 호흡과는 달리 호흡 단위가 짧은 수도 있다는 점    

     정도가 장구의 호흡과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1). 날갯짓하기(호흡 연습, 앉아서)

       가운데 손가락을 붙이고, 손끝에서 팔꿈치까지가 1자가 된 상태에서 몸에 힘을 빼고       

        팔꿈치를 옆구리에 붙이면서 몸을 내리고, 팔꿈치를 떼면서 몸도 올린다.

 

  (2). 오금질하기(호흡 연습, 서서)

     가. 뒤꿈치에서 '쿵'하는 소리가 날 정도로 힘있게 딛는다.

     나. 그대로 자연스럽게 무릎을 굽힌다.

     다, 뒤꿈치를 쑥 들면서 몸을 위로 올린다.

     라. 몸에 힘을 빼고 해야 자연스런 동작이 나온다.

 

  (3) 걷기

     가. 걸을 땐 반드시 뒤꿈치, 발바닥, 발끝의 차례로 걷는다.  (자연스런 걸음걸이)

     나. 발을 디딜 땐 힘을 빼고 자신 있게 디딘다. - 왼발

     다. 오른발의 복사뼈가 왼발의 복사뼈에 살짝 닿을 듯 말듯 스쳐 지나가게 한다.

     라. 오른발을 왼발 앞으로 뺀다. 이 때 왼발의 뒤꿈치를 들어주며, 왼발과 오른발이

          원운동에 가깝게 한다.

     마. 두 팔을 펴고 손목에 힘을 뺀 채 걷는 연습하기


 (4) 이분박과 삼분박

      우리 가락은 그 짜임에 따라 크게 이분박(二分拍)과 삼분박(三分拍)으로 나뉜다.

      이분박 가락에는 휘모리(2채, 다드래기), 동살풀이, 행진곡(칠북, 밀양) 따위가 있고

      삼분박 가락에는 굿거리, 자진모리(3채, 덧배기), 세마치 따위가 있다.

      그 짜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분박 - 한 방이 두 각으로 나뉨.

         한 각(한 분박) 

           하  나 두  울  세  엣  네  엣

           잰     잰      재  재  잰

           덩     덩      쿵  따  쿵

           ↓ ↑  ↓  ↑  ↓  ↑  ↓  ↑

 

    삼분박 - 한 방이 세 각으로 나뉨.

          하나아  두우울  세에엣  네에엣

          잰  재  잰  재  잰  재  재잰

          ↙→↖  ↙→↖  ↙→↖  ↙→↖


 6. 타 법 연 습   

    1. 기본 타법

       기본 타법에는 강하게 치는 정타와 약하게 치는 약타로 나누어진다.


     (1) 정 타

        채 끝이 반원을 그리면서 나와 수평으로 들어가 맞는다. 낫질하듯 쳐야 하며 흘려         

        서치면 안 된다. 

        칠 때는 손목 → 쇠끝 → 손목(팔꿈치) → 쇠끝의 차례가 되게 손목과 팔꿈치, 어깨         

        에 힘을 빼고 쳐야 하며 쇠끝이 쇠에 붙어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으면 짧게 해야 맑         

        은 소 리가 나며 맞는 순간에는 쇠에 수직으로 맞게 하되 손목과 팔꿈치를 돌려 쳐         

        야 소리가 힘이 있고 끊어지지 않으며 굴러가는 느낌을 주게 된다.


      가. 정타는 한번의 준비 동작으로 보통 크기 이상 강하게 한번 치는 소리이다.

      나. 채를 잡은 손목을 밖으로 꺾어 각도가 80。 정도 벌어지게 준비 운동을 한다.

      다, 준비 동작에서 멈추지 말고 빠른 속도로 손목을 안으로 꺾어 가운데 점에 방울이          

           닿게 한다.

      라. 치는 순간 팔에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며 치고 난 후에 팔에 힘을 뺀 상태로 

           채의 방울이 울림판에서 약간 떨어진 상태로 다음 준비 동작 때까지 대기한다.

 

    (2) 약 타

      가. 약타는 아주 작은 준비 운동으로 약하게 치는 소리이다.

      나. 채를 잡은 손목을 밖으로 조금 꺾어 채의 중심점을 기점으로 약 15。정도 벌어지           

           게준비 동작을 한다.

      다. 준비동작에서 멈추지 말고 가볍게 손목을 안으로 꺾어 가운데 점에 방울이 닿게           

           친다.

      라. 채의 방울이 울림판에서 약간 떨어진 상태로 다음 준비 동작 때까지 대기한다.


  2. 울림판 막기 (막음새의 활용)


     꽹과리 연주에서는 채로 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꽹과리를 잡은 손의 손가락으     

     로 울림판을 막는 행위이다.  같은 형태의 리듬일지라도 울림판을 막는 시점이나 막음     

     상태에 따라 음악적 느낌의 차이는 크며, 또한 같은 형태의 장단일지라도 빠르기에 따     

      라 울림판을 막는 시점이나 횟수가 달라진다.  즉 같은 형태의 장단을 빠르게 칠 때에     

      는 그 빠르기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느리게 칠 때보다 막는 횟수를 적게 하며 이는 음악     

       적인 호흡에 따른다.


   (1) 순간 막음

      가. 순간 막음은 꽹과리 연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막음으로 꽹과리를 잡은 세 손           

           가락을 곧게 편 상태에서 손가락 끝으로 울림판을 순간적으로 치는 것이다. 이는          

           앞소리의 여운을 막고 다음 소리를 선명하게 하기 위함이며 보통「갱, 갠」을 바          

           로 치기직전에 순간적으로 행하는 막음 동작이다.

           채로‘갱'을 친 다음 꽹과리 안에 넣은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재빠르게 쇠의 안면          

           을 터치하는 방법인데 오른손과 왼손을 가격하는 시차가 어느 정도이냐에 따라 느          

           낌이 달라지며, 막음새 동작의 빠르기에 의해서도 소리가 달라진다.

 

      나. 채를 잡은 손이 「갱, 갠」을 치기 위한 준비 동작을 할 때 꽹과리를 잡은 손의            

           손목을 울림판 반대 방향으로 약간 돌려 준비 동작을 한다.

 

      다, 준비 동작을 한 채의 손이 「갱, 갠」을 치기 위해 손목을 안으로 꺾을 때 울림판           

           막음의 준비 동작을 한 손의 손목도 울림판 쪽으로 동시에 꺾어 채가 울림판을            

           치기 직전에 손가락 끝으로 울림판을「순간 막음」(순간적으로 침)을 한다.


      라.「순간 막음」후는 최초위치에서 다음 준비 동작 때까지 대기한다.


      마. 약타인 「개」(「지」)에서는 「순간 막음」을 하지 않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2) 막고 침 「갯, 잿」「● 」

       가. 울림판을 막는 상태, 즉 꽹과리의 울림이 없는 상태로 치는 것으로 막은 상태에            

            서 여러 번 반복하여 치면 그 소리가 다듬이 두드리는 소리와 같다 하여 다듬이            

             쇠라고도 한다.

       나. 꽹과리 고리에 낀 엄지손가락을 비롯하여 모든 손가락으로 울림판을 막고 친다.

       다. 꽹과리의 중앙 부분을 친다.


    (3) 치고 막음 「개-ㅅ, 재-ㅅ 」 「◑」

       가.「치고 막음」은 시간 차 막음이라고도 하며, 먼저 채로 울림판을 치고 그 여운의             

             뒷부분을 막아 소리를 죽여주는 것이다.

 

      나. 먼저 일정 박자 길이의 「갱, 갠」이나 「개」를 치고, 그 박자의 반 정도는 소리

           가 울리게 두었다가 나머지 반 박자 정도는 울림판을 막은 상태로 정지한 후 다음

           준비 동작 때까지 대기한다.


  3. 겹치기 타법


      겹치기 타법은 겹가락의 형태인 「개갱」이나 리듬 길이 비율에 따라 짧은 「개」와       

      다음의「갱」을 한번의 준비 동작으로 겹쳐 치는 것을 말하며, 장구의 기닥과 흡사한        

       타법이다. 

      장구와는 달리 1칸을 분박하여 칠 때 대부분 3분박으로 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보       

      통 이상의 빠르기에서 빠르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분박되는 두 리듬의 박자 길이를 서       

       로 달리하여 짧은 박자의 리듬과 긴 박자의 리듬을 묶어「겹치기 타법」, 즉 한번의       

       준비동작으로 치기 위함이며 두 손으로 치는 장구와는 달리 꽹과리는 한 손으로만 치       

       기 때문이다.


    (1) 행으로 치기

      가.「개」와「갱」을 한번의 준비 동작으로 하여 2단계로 치는 것이며 장구의 열채"           

             기" 와 같은 방법이다.

      나. 손목을 밖으로 꺾어 채의 중앙전을 기점으로 하여 행성과의 각도가 약 80。 정도

           벌어지게 준비 동작을 한다.

      다. 준비동작에서 멈추지 말고 느리고 부드럽게 손목을 안으로꺾어 약하게「개」를친           

            다.

      라. 준비 동작에서 멈추지 말고 손목을 안으로 빠르게 꺾어 강하게 「갱, 갠」을 친            

           다.

      마. 순간막음」은 앞의 리듬인 「개」에는 하지 않고 뒤의 리듬인 「갱, 갠」에서만           

            행 한다.   

           하지만 울림판 「순간막음」을 위한 준비 동작은 채의 1단계 준비 동작과 동시에          

           하여 잠시 정지하였다가  채가 2단계로 「갱, 갠」을 치기 위해 안으로 이동할 때          

           울림판 쪽으로 이동하여「갱, 갠」을 치기 직전 순간적으로 울림판을 막아 준다.  


     (2) 당겨치기 

      가.「당겨치기 」타법은「행으로 치기」타법보다「개」와「갱」의 사이를 짧게 겹쳐

           칠 수 있기 때문에 「개갱」과 같은 겹가락 치기에 유리하다.

      나. 손을 앞으로 내밀며 손목을 박으로 꺾어 채의 중심점을 기점으로 행선과의 각도           

            가 약 40。 정도 벌어지게 1단계 준비 동작을 한다.

      다, 준비된 동작을 멈추지 말고 채의 손을 몸쪽으로 빠르게 당기며 손목을 안으로 꺾          

           어 앞점에서 방울이 「개」를 친다.

      라. 채의 손을 몸쪽으로 계속 당기며 1단계 친 탄력을 이용하여 채의 각도가 1단계            

           약15도정도 벌어지게 2단계 준비 동작을 한다.

      마. 준비된 동작에서 멈추지 말고 채의 손을 몸쪽으로 계속 당기며 손목을 안으로 꺾          

            어 가운데 점에 방울이 닿게 2단계로「갱」을 친다.


    (3) 내려치기

       가.「당겨치기」처럼 빠르게 겹쳐 치는 「-지갠」이나 「그랭」리듬을 치기에 유리           

             한 타법이다.

       나. 손을 약간 밑으로 내려 손목을 밖으로 뒤집어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1단계 준비            

            동작을 한다.

       다. 준비된 동작에서 멈추지 말고 채의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여 채의 방울로 바깥             

            방향의 원을 그리며 위로 올려 준다.(손목을 안으로 뒤집으며)

       라. 중앙의 약간 위쪽 지점을 최고점으로 하여 손목을 안으로 계속 돌려 원의 방향            

            이 아래로 향하여 내려 올 때 그 탄력을 이용하여 채의 방울이 최고의 위점에             

            닿게「지」를  친다.

       마, 계속 아래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방울이 한 가운데 닿게 2단계로 「갠」을 친다.

       바. 울림판의「순간 막음」은「행으로 치기」와 같은 방법으로 행한다.


    (4) 올려치기

     가.「올려치기」는 겹치기타법중「-지갠」을 연속으로 겹치게 칠 때 유리한 타법이다.

     나. 손목을 꺽지 않고 채의 대와 꽹과리의 행선이 평행을 이루게 약간 띠어 1단계 준          

           비 운동을 한다.

     다. 준비 운동에서 멈추지 말고 느리고 부드럽게 손목을 안으로 꺾어 가운데 점을 가          

           볍게「지」를 친다.

      라. 1단계 「지」를 친 후 빠르게 손목을 돌려 채의 방울이 「내려치기」와는 반대 방          

          향으로 원을 그려 주심에서 약간 아래 지점을 최고점으로 하여 아래(위) 방향으로          

           계속 원을 그린다.

     마. 원의 최하점에 도달한 채의 방울을 위쪽 방향으로 원을 계속 그리며 방울이 가운            

          데 점에 닿게 2단계 「갠」을 친다.

     바, 2단계 「갠」을 친 후 원을 그리는 동작을 멈추지 말고 손바닥이 위로 향할 때까          

          지 계속 손목을 돌려준다.

      사. 울림판의「순간막음」은「행으로 치기」와 같은 방법으로 행한다.


  4. 기초 타법의 연습

 

    (1) 구음표를 통한 타법 연습


구음

타법

갱, 갠, 잰

정타 침(순간 막음)

개, 지, 그

약하게 침(막음 없이)

개갱, 지갠, 지잰, 그랭

◎,  o○

겹가락을 침(사이 막음)

개르.., 재르...

ooooo

굴려 침

갯, 잿

울림판 막고 침(막음)

개-ㅅ, 재-ㅅ

치고 울림판 막음

    

 

    (2) ‘갱'의 타법

          모든 꽹과리의 기초가 되는 타법으로 채를 가볍게 쥐고 쇠의 복판 상단부 위를 수직         

          에 가깝게 친다.


    (3) ‘개갱'의 타법

         삼채 가락의 기본이 되는 타법으로 한 호흡에 빠르게 두 번을 친다.  ‘개'에는 팔꿈치       

         가 들어가고, 갱’은 팔꿈치가 나오면서 ‘개'와 똑같은 힘으로 쳐야 한다.


    (4) ‘개개갱'의 타법

         굿거리, 삼채, 휘모리의 기초가 되며, 계단을 내려가면서 한 호흡에 3번을 친다.

 

    (5) ‘지갠'의 타법

         앞의 꾸밈음인 ‘지'는 들릴 듯 말 듯 하게 살짝 치고, 빠르게 ‘갠’을 겹치는 것인데,        

         그동작이 마치 S’자를 그리는 것과 같다.


    (6) ‘개갯'의 타법

‘        지잰’과 같은 방법으로 쳐서 엄지 손가락으로 쇠의 둘레를 잡는 타법이다.


     (7) ‘갱--개개갱'의 타법

           굿거리, 삼채류의 기초가 되는 타법으로 마음속에 삼각형을 그리면서 호흡선을 타야           

           한다. 

          즉 하나에 몸을 내리면서 오금을 주고 두울에는 내린 몸을 그대로 머물면서 기다리         

          고 세엣에 오금을 펴면서 몸을 솟구치는 방법이 기본이 된다.


 7. 꽹과리 장단의 단계적 지도


 꽹과리는 특히 소음에 유의해야 하는 악기로 실내 연습 시간에는 쇠의 안  

쪽에 테이프를 붙여서 사용하면 좋다.


   가. 학습 순서

      구음으로 익히기 → 손장단으로 익히기 → 왼손 열고 치기 → 왼손장

      열었다 막았다 하면서 치기 → 문답 형식으로 나누어 치기 → 두파트로

      나누어 합주하기

  

   나. 기본장단 익히기

        장구 장단에서 익힌 장단을 위 학습 순서에 의해 익히며, 기본 장단       

        은 단선에 리듬을 적거나 구음 정간보 작성하여 구음으로 연습한다.

 

출처 : 북치는 소년
글쓴이 : 레미안 원글보기
메모 :